immunecubeimmunecube
  • Home
  • 쉬운 면역이야기
    • 생활면역101
    • 생활면역102
  • 면역디톡스
    • 면역디톡스
    • 면역다이어트
  • 생활면역
    • 생활과 면역
    • 면역 식품
    • 숙취
  • Glossary
  • 면역 용어
  • blog
  • Home
  • 쉬운 면역이야기
    • 생활면역101
    • 생활면역102
  • 면역디톡스
    • 면역디톡스
    • 면역다이어트
  • 생활면역
    • 생활과 면역
    • 면역 식품
    • 숙취
  • Glossary
  • 면역 용어
  • blog

생활면역101

home/Documentation/생활면역101
내용보기 Collapse All
  • 일상 생활에서 선천면역이 중요한 이유
  • 안전하고 좋은 Th1면역증강제, MPLA의 개발
  • 면역세포의 종류
  • 염증에 대한 이해 및 오해
  • LPS가 각종 질병에 미치는 영향
  • 꼭 알아야 할 면역반응 6가지
    • TLR4로부터 염증이 발생하는 과정
    • 상처치유 (wound healing) 과정과 면역세포의 시간적 변화
    • 보조T세포의 분화와 적응면역 조절.
    • 종양미세환경과 면역
    • 과민 반응의 종류 4가지
  • 임상시험을 메타분석 하는 이유
  • 림프절에서의 항원 제시 과정
  • 흉선에서의 T세포 교육 그리고 엔트로피
  • 자가포식
  • 선천면역을 높여야 하는 이유
  • 항암제 개발이 얼마나 힘들었나?
  • 훈련 면역 (trained immunity)
  • 항체의 부위별 명칭
  • 생활면역이란?
    • 면역력을 높인다는 말은 무슨 의미인가?
    • 면역을 이해하기 위한 키워드 4
    • 보체(complement)란 무엇인가?
    • 감염되었을 때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과정
    • 선천면역, 면역반응은 어떻게 시작하는가?
    • 탐식작용(phagocytosis)이 일어나는 과정
    • LPS의 면역반응 간략한 소개
  • 염증을 이해하는 키워드 4가지

항체의 부위별 명칭

8 views 0 immunecube

항체는 입체 구조는 아래 그림(A)처럼 생겼습니다. 이것을 각각의 그림 (B)로 나눠서 설명합니다.

항체는 흔히 Y자 형태로 그리는데, 이때 힌지 부위는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해서 항체의 양팔의 각도가 변할 수 있습니다. 항체는 크게 중쇄(heavy chain)과 경쇄(light chain)으로 나누는데 중세의 단백질 서열이 훨씬 길고 경제는 중쇄에 결합한 형태입니다.

항체는 Y자 형의 구조에서 양팔에 해당되는 부위의 끝 부분이 가변 부위이고 이곳의 서열이 각각의 항체마다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항원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.

항체의 구조를 기능적으로 나눈다면, 항원을 인식하는 Fab 부위와, 면역세포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Fc 부위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. 특히 많은 면역세포는 Fc 부위를 인식할 수 있는 Fc수용체를 가지고 있습니다.

관련

도움이 되었나요?

예  아니오
Leave A Comment 응답 취소

앞의 글
훈련 면역 (trained immunity)
다음 글
생활면역이란?
Copyright 2023 Immunecube.com